[이 그림] 양기훈의 매화도 : 사랑을 부르는 매화와 한 쌍의 새

이주상 기자

klifejourney2025@gmail.com | 2025-10-06 18:38:01

양기훈의 매화도(일부) 이여름기자 klifejourney2025@gmail.com

[K라이프저니 | 이여름 기자] 경복궁 내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의 걸작인 양기훈(1843~1919)의 매화도의 일부입니다. 양기훈은 구한말에 활동했던 화가입니다. 평양 출신으로 유려한 선, 화려한 색감으로 조선 말기를 대표하는 화가 중의 한 명입니다. 신진 문물에 관심이 많아 미국과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죠.

조선 성리학의 태두인 퇴계 이황은 평생 매화를 사랑했는데, 그 이유가 아무리 추워도 매화는 꽃을 피우고 향기를 내뿜기 때문이었죠. 이황은 자신의 좌우명을 ‘매한불매향(梅寒不賣香. 매화는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)’이라고 삼을 정도로 매화를 아꼈습니다.

이황은 단양군수로 일할 때 기생 두향과의 사랑으로 유명합니다. 에로스가 아닌 플라토닉 사랑으로 우정과 사랑을 쌓았죠. 이황이 두향과 헤어질 때 지은 시가 유명한데요, 이황이 이별의 아픔을 ‘사별이라면 목이 메겠으나, 산 이별이라 언제나 그리워하네’라고 말하자 두 향은 ‘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 제, 어느덧 술 다하고 님마저 가는구나, 꽃지고 새 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’라는 시조로 화답했다고 합니다.

아울러 그림의 포인트 중의 하나는 오른쪽 하단에 있는 한 쌍의 참새들입니다. 무엇이 좋은지 화사하기 그지없는 매화꽃 앞에서 사랑을 속삭이고 있네요. 한국 역사에서 최초의 서정시라고 할 수 있는 고구려 유리왕의 황조가가 떠오르네요. 

황조가

펄펄 나는 저 꾀꼬리

암수 서로 정답구나

외로울 사 이내 몸은

뉘와 함께 돌아갈 꼬

klifejourney2025@gmail.com

[ⓒ K라이프저니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
WEEKLY HOT